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23년 만에…유승준, 드디어 가요계 ‘복귀’

김유현 기자 조회수  

유승준, 저스디스와 작업
제작 비하인드 영상에 등장해
피처링 참여자의 이름 표기되지 않아

출처: 유승준 SNS

가수 유승준(스티브 유)이 래퍼 저스디스의 새 앨범에 참여하며 사실상 23년 만에 가요계 복귀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저스디스는 지난 20일 신보 ‘릿(LIT)’을 발매했다.

이번 앨범에는 범키, 인순이, 라디, 딘 등 여러 아티스트들이 피처링으로 참여해 음악팬들의 관심을 모았다.

특히 수록곡 ‘홈 홈(HOME HOME)’에는 유승준이 참여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며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출처: 유승준 SNS

해당 곡에는 다른 수록곡들과 달리 피처링 참여자의 이름이 표기되지 않았지만, 저스디스의 유튜브 채널에 공개된 제작 비하인드 영상에 유승준이 등장하며 피처링 사실이 확인됐다.

공개된 영상 속 유승준은 녹음실로 들어와 저스디스와 인사를 나누고, 직접 헤드폰을 착용한 채 녹음에 몰입하는 모습을 보였다.

카메라 앞에 다시 모습을 보인 데다 신곡 작업에까지 참여한 것은 워낙 오랜만이라 팬들의 관심이 더욱 집중됐다.

온라인에서는 그의 복귀를 둘러싸고 갑론을박이 이어졌다.

출처: 유승준 SNS

누리꾼들은 “노래는 여전히 잘하네, 복귀 자체는 반갑다”, “23년 만에 목소리 듣는 느낌 묘하다”, “저스디스와 조합이 의외라 흥미롭다” 등 음악적 관심을 보였다.

반면 “아직도 병역 기피 논란은 해결 안 된 문제”, “한국 활동은 조심해야 한다”, “법적 공방 끝날 때까지는 판단 유보” 등의 냉담한 의견도 적지 않았다.

앞서 유승준은 지난 2002년 입대를 앞두고 미국 시민권을 취득해 병역 기피 논란에 휩싸였다.

이후 법무부는 그의 입국을 금지했고, 유승준은 23년째 한국 땅을 밟지 못하고 있다.

그는 지난 2015년 LA 총영사관에 재외동포 비자를 신청했지만 거부당했고, 이를 취소해달라며 제기한 첫 소송에서 승소했으나 LA 총영사관은 다시 비자 발급을 거부했다.

이어 두 번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연이어 승소했지만, LA 총영사 측이 판결에 불복하며 재판이 2심으로 이어졌다.

author-img
김유현 기자
KUH@kwire.co.kr

댓글0

300

댓글0

[라이프] 랭킹 뉴스

  • 걸그룹 막내 출신 女배우, 진짜 축하할 근황
  • "탁재훈과 키스"… 예지원, 깜짝 폭로
  • 자매인 줄…보조개까지 똑닮은 동갑내기 女가수
  • 허성태, 결혼 '6개월 만에' 결단 내렸다…
  • 尹, 전두환과 비교 당해…심상찮은 분위기
  • '44세' 김지훈, 해냈다…축하할 소식

[라이프] 인기 뉴스

  • 걸그룹 막내 출신 女배우, 진짜 축하할 근황
  • "탁재훈과 키스"… 예지원, 깜짝 폭로
  • 자매인 줄…보조개까지 똑닮은 동갑내기 女가수
  • 허성태, 결혼 '6개월 만에' 결단 내렸다…
  • 尹, 전두환과 비교 당해…심상찮은 분위기
  • '44세' 김지훈, 해냈다…축하할 소식

[라이프] 추천 뉴스

  • 한해, 흉흉한 소문 등장…결국 입 열었다
  • '임신 준비' 김준호♥김지민, 드디어…축하할 소식
  • 직장인 필수, 책상 앞 간단한 동작으로 몸도 마음도 '건강'할 수 있다
  • 가을과 겨울이 되면 사람들은 두꺼운 옷을 껴입는 것만큼 정전기 걱정을 먼저 떠올린다. 자동차 문을 잡을 때나 옷을 벗을 때 갑자기 전기가 튀어 불쾌한 경험을 하는 경우가 흔하다. 정전기는 이름 그대로 흐르지 않고 정지된 전기를 의미하는데, 공기 중 습도가 낮아질수록 인체에 머무는 전기가 쉽게 방출되지 못해 발생한다.
    "치아에도 정전기가?" 가을철마다 겪는 기현상, 이렇게 방지하세요!
  • 푸룬은 말린 서양 자두로, 달콤하고 쫄깃한 식감 덕분에 간식으로 사랑받는다. 하지만 단순한 간식이 아니라 건강 관리에도 큰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최근 연구에서 밝혀졌다. 특히 푸룬은 장 건강과 뼈 건강을 동시에 지키는 데 효과적이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항산화와 면역력 지키는 '1급 과일', 매일 '이것' 한 줌씩 드세요!
  • 추석 연휴는 가족 모임과 장거리 이동, 쉴 새 없는 집안일이 이어지는 시기다. 특히 명절 음식 준비로 오랜 시간 서 있거나, 장시간 운전대를 잡는 일은 어깨와 허리에 큰 부담을 준다. 이런 긴장이 누적되면 근육이 뭉치고 통증이 생긴다. 가볍게 지나가는 듯 보여도 방치하면 만성 근육통으로 이어질 수 있다.
    추석 연휴 내내 뻐근한 몸…'확 풀리는 비밀' 알려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