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 이대로 두면 위험하다

장마와 폭염이 지나가면서 늦여름 모기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다. 폭우로 물이 고이며 모기 번식에 최적의 조건이 형성된 데다가 기온도 높게 유지되며 모기의 서식과 산란 기간도 길어졌기 때문이다.
17일 질병관리청 감염병 포털 통계에 따르면 지난 1월 1일부터 이달 13일까지 말라리아 환자는 406명 발생했다. 국내 말라리아 환자는 2021년 294명, 2022년 420명, 2023년 747명, 2024년 713명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심지어 경기, 강원 등 광역 단체들은 지난달 말라리아 경보를 발령했다.
날씨가 조금씩 선선해지고 있는 요즘, 모기를 매개로 한 감염병에 대한 주의가 각별히 필요할 때다.
국내 ‘말라리아’ 발생 증가 추세

국내 말라리아는 ‘삼일열 말라리아 원충’에 의해 감염된 얼룩날개모기에 물릴 때 감염되며, 주로 5월부터 10월 사이 인천과 경기, 강원 북부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감염 후 잠복기는 최소 2주에서 길게는 1년 이상에 달한다. 진단은 혈액도말 현미경 검사, 신속진단검사(RDT), 또는 유전자검출(PCR) 검사를 통해 가능하다.
대표적인 증상은 발열, 심한 오한과 근육통, 두통 등이 있으며 혈액검사에서는 혈소판 감소가 흔하다. 치료는 경구항말라리아제를 일정 기간 복용해야 하며, 원층 종류와 내성 여부에 따라 약제가 달라지기도 한다.
만약 영유아·고령자·기저질환자가 감염 후 치료를 중단하게 되면 중증으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2024년부터는 보건소에서 무료 검사와 의료기간에서는 진단키트를 제공하고 있다.
‘일본뇌염’은 치료제 없어, 예방이 가장 중요

일본뇌염은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보유한 작은빨간집모기에 물려 감염된다.
질병관리청은 환자수가 2021년 23명, 2022년 11명, 2023년 17명, 2024년 21명으로 집계됐다고 전했다. 올해는 아직 보고 사례가 없지만 예년 추사상 8월부터 10월에 환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바이러스는 주로 돼지를 삼아 증식하고, 이를 흡혈한 모기가 사람을 물면 전파되는 방식이다. 감염자의 99% 이상은 무증상이지만 드물게 발병하는 경우 잠복기는 4~14일이며, 초기에는 발열과 두통, 구토 등 비특이적 증상들이 나타난다. 이 단계를 거쳐 중증으로 악화된다면 고열, 의식장애, 경련, 마비, 혼수, 호흡부전이 발생할 수 있다.
유충 단계에서 방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생후 12개월부터 12세까지 국가예방접종사업(NIP) 일정에 따라 백신을 맞는 것이 권장된다. 하지만 성인도 고위험군에 해당된다면 접종을 고려해야 한다. 일본뇌염 같은 경우에는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예방접종과 모기 회피가 유일한 예방법이다.
모기의 주된 활동 시간은 오후 10시부터 오전 4시 사이이므로 이 시간대 야외활동을 줄이고, 밝은 색 긴 옷과 모기기피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기피제는 식약처 의약외품 허가 성분(DEET, 이카리딘, PMD, IR3535)를 사용하는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기피제는 피부 노출이나 옷 위에 사용하고 상처 부위나 입, 눈 주위에는 사용을 피해야 한다. 또한 외출 뒤에는 이를 깨끗이 지워야 한다.
가정에서 예방법은 창문과 출입구에 방충망을 설치하며, 고여져 있는 물들을 제거하여 산란지를 없애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비가 내린 뒤 화분받침이나 빗물받이, 쓰레기통 뚜껑 등에 고인 물들을 버리는 것은 모기 번식을 차단하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처럼 유충 단계에서 방제한다면 성충 수백 마리르 줄이는 효과가 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