랩에 싸서 보관 시 세균 증식
껍질부터 흐르는 물에 세척
밀폐용기에 담아 냉장 보관
여름 대표 과일, 안심하고 먹으려면

더운 여름, 가장 먼저 떠오르는 과일은 단연 수박이다. 풍부한 수분과 시원한 단맛 덕분에 갈증 해소에도, 피로 회복에도 제격이다. 하지만 워낙 덩치가 크다 보니 한 번에 다 먹기 어려워 잘라서 냉장고에 넣어두는 경우가 많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세균이 급속도로 증식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한국소비자원의 실험에 따르면, 멸균 환경에서 보관했음에도 불구하고 수박을 랩에 싸서 냉장 보관을 했을 때 절단면 세균 수가 약 3,000배까지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겉은 시원해 보여도 속은 세균 폭탄일 수 있다는 얘기다. 여름철 수박을 안전하게 즐기려면 올바른 보관법을 아는 것이 필수다.
랩 보관이 위험한 이유

많은 사람이 반만 먹은 수박을 랩으로 감싸 냉장고에 넣는다. 하지만, 이 방식은 세균 번식의 온상이 될 수 있다. 랩을 씌우면 내부에 수분이 맺혀 통풍이 차단되고, 이 습기가 세균 번식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랩 보관은 오히려 세균 증식을 가속한다”라고 지적한다.
특히 수박 껍질 표면에 묻어 있던 세균이 잘라낸 속살로 옮겨가면서 보관 중에 급격히 증식한다. 랩을 씌운 상태에서도 리스테리아처럼 저온에서도 살아남는 세균은 활발히 번식할 수 있어, 겉만 시원할 뿐 안전하지 않다. 따라서 랩은 임시방편일 뿐,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올바른 보관법의 기본

수박을 안전하게 즐기려면 가장 먼저 껍질 세척부터 시작해야 한다. 수박 껍질은 먹지 않더라도 절단 과정에서 세균이 속으로 옮겨갈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어내야 한다. 간단한 습관이지만 세균 감염 가능성을 크게 줄인다.
절단 후에는 한입 크기로 잘라 밀폐용기에 담아 보관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공기와 접촉을 최소화해야 세균 증식이 억제되고, 수분과 당분이 유지된다. 실온 보관은 금물이며, 4도 이하의 냉장 환경에서 최대 1~2일 안에 먹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캠핑장과 계곡에서도 조심

여름 휴가철이면 캠핑이나 물놀이 장소에서 수박을 즐기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손을 씻지 않고 수박을 자르거나 먹으면 물속 미생물이 입을 통해 침투할 수 있다. 반드시 손을 깨끗이 씻은 뒤 깨끗한 칼과 도마를 사용해야 한다. 포크나 집게 등 개인 도구를 쓰는 것도 위생을 지키는 방법이다.
‘계곡물에 수박 담그기’는 여전히 인기지만 매우 위험하다. 맑아 보이는 물에도 대장균이나 기생충이 존재할 수 있으며, 수박 표면이 쉽게 오염된다. 소량만 섭취해도 식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계곡물 보관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하게 즐기는 생활 습관

이미 반으로 자른 뒤 랩에 씌워 보관했다면, 먹기 전에 겉면을 최소 1cm 이상 도려내는 것이 안전하다. 절단면 근처에 세균이 집중적으로 번식하기 때문이다. 조금 번거롭더라도 남은 수박을 작은 조각으로 나눠 밀폐 용기에 담아 보관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결국 수박을 안전하게 즐기는 핵심은 ‘깨끗한 세척, 밀폐 보관, 빠른 섭취’ 세 가지로 요약된다. 간단한 원칙만 지켜도 여름철 대표 과일 수박을 걱정 없이 즐길 수 있다. 달콤한 한 입이 세균 폭탄이 되지 않도록, 올바른 보관 습관을 생활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