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브로들 안녕! 살림브라더야~
보양식 하면 딱 떠오르는 음식, 뭐가 있을까요? 삼계탕, 추어탕도 있지만, 개인적으로 원탑은 장어라고 생각합니당! 그런데 장어구이를 먹으러 가보면, 같은 중량인데도 가게마다 가격 차이가 확 나는 경우가 많죠? 대체 왜 그런 걸까요?ㅠㅠ
이번에 유튜브 입질의추억TV를 통해 그 이유를 제대로 배웠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장어구이에 대한 모든 걸 낱낱이 파헤쳐볼까 하는데요! 가격 말고도 꼭 확인해야 할 중요한 포인트들, 지금부터 하나씩 알아봐요~ START!

1. 우리가 먹는 장어구이는 무엇인가요?
장어라고 다 같은 장어가 아니라는 거, 알고 계셨나요? 크게 나누면 민물장어와 바다장어가 있는데요, 바다장어는 먹장어(곰장어), 붕장어(아나고), 갯장어 등 종류가 다양하지만, 우리가 흔히 장어구이로 먹는 건 바로 민물장어, 일명 뱀장어요! 풍천장어라는 이름으로도 잘 알려져 있죠.
그런데 이 민물장어, 100% 자연산일까요? 사실상 거의 99%가 양식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에요. 이유는 간단해요. 바다에서 실뱀장어(치어)를 채집한 뒤, 봄마다 강하구로 들어오는 녀석들을 잡아 양식장으로 데려가 민물에 적응시켜 기르거든요. 그렇게 키운 장어가 우리가 식탁에서 만나는 바로 그 장어랍니다!

2. 같은 중량, 다른 가격! 무슨 일이죠?
가끔 보면, 같은 중량인데도 장어 가격이 제각각인 경우가 있어요. 이럴 땐 대부분 가격을 먼저 보게 되죠. “어? 같은 무게인데 이게 더 싸네?” 하면서 자연스럽게 저렴한 걸 고르게 되잖아요?
하지만 여러분, 띠- 댓츠 노노! 이런 경우엔 가격보다 꼭 ‘손질 후 중량’을 따져야 진짜 이득이에요. 장어는 머리, 내장, 뼈를 제거하고 나면 생각보다 무게가 훅 줄어들거든요. 손질 전에는 똑같이 1kg이라도, 손질하고 나면 실제로 먹을 수 있는 양엔 큰 차이가 생길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오 이 집 싸다~” 하고 샀는데, 막상 손질하고 나니 양이 적어서 결과적으로는 더 비싸게 먹은 꼴이 될 수도 있다는 거죠! 그러니 다음에 장어 살 땐 꼭! 손질 후 중량도 함께 체크하세요!

가격보다는 중량을 CHECK!
– 사실상 우리가 주의깊게 봐야 하는 건 손질 후 중량.
가게1
kg당 35,000원
손질 후 500g => 100g당 7,000원
가게2
kg당 50,000원
손질 후 800g => 100g당 6,250원
언뜻 보면 가게2의 가격이 훨씬 비싸보이지만 손질 후 중량으로 제대로 따져보면 가게2의 가격이 훨씬 합리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어요.
장어를 손질하게 되면 사실상 한 마리에 1kg가 나오기 어렵다고 해요. 보통 손질 후 70~75%는 나오는 게 정상이죠. 즉 실중량은 거의 750g~800g일 경우가 커요.
물론 생각보다 수율이 적게 나오는 일도 발생해요. 이건 장어가 어릴수록, 나이가 들수록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거든요. 어릴수록 대가리가 작고 뼈가 얇아서 살이 많이 나오는 경우가 있다는 거. 반대로 많이 키우면 살이 상대적으로 적게 붙을 수 있다는 의미죠.
가장 최상급은 어리면서도 수율이 좋은 장어, 그 다음은 오래 키웠지만 비교적 수율이 좋은 장어가 될 수 있겠네요. (굳!)

– 초벌구이 후 중량은 의미가 없음
자, 일단 장어를 굽게 되면 수분이 빠져나가는 만큼 중량 손실이 더 생길 수밖에 없어요. 이땐 정확한 수율 중량을 가늠하기 어렵죠. 결론적으로는 초벌구이한 중량은 알 수 없다는 게 팩트.
이런 경우에는 믿고 먹는 게 최선이라고 봐요. 보통 메뉴판에 실중량을 표기하는 식당이 있는데 800g에 가까울수록 좋으니 참고하세요!

3. 민물장어의 품종도 3가지로 나뉘어요
아시다시피 원산지 표기는 의무에요! BUT 세부 품종 표기는 의무가 아니더라구요. 재밌는 건 바로 이 부분에서 맛과 품질, 가격이 확~ 달라질 수 있다고 해요.
일단 급이 좋은 친구부터 그렇지 않은 친구까지 3가지 품종을 차례로 소개시켜드릴게요.
(1) 자포니카
(2) 비콜라
(3) 말모라타
먼저 자포니카의 경우, 맛과 품질이 월등하고 치어 구하기가 힘들어 양식마저도 가격이 높은 고급품종으로 업계에서 A급으로 쳐줘요. 고급식당이나 호텔 일식당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죠.
요렇게 좋은 품종을 쓰는 장어구이집의 경우 당당하게 ‘자포니카’라고 표기해두는 경우가 많다고 하니 참고!
두 번째 비콜라는 외래산으로 우리나라 해역에는 서식하지 않아요. 주로 필리핀, 인도네시아를 비롯해 적도를 끼고 있는 열대바다에 서식하는데요. 비콜라의 경우가 식감이 쫄깃쫄깃하다는 특징이 있어요.
마지막으로 말모라타는 우리나라 말로 무태장어라고도 하는데요. 자포니카에 비해서 식감이 좀 많이 무르고 느끼하고 비교적 품질이 떨어져요.
+ 앙귈라라고 불리는 유럽산 은장어도 있기는 한데 위에 소개해드린 3종이 조금 더 대표적이라고 볼 수 있어요.
결론적으로 품종 표기는 의무가 아니라, 우리가 매번 확인이 어려울진 몰라도 알고 먹는 것과 모르고 먹는 건 엄청난 차이가 있죠? 같은 장어 같아도 이렇게 품종에 따라 급이 나뉘며 맛 또한 달라집니다..★

살림브로가 애정하는 장어구이, 이제는 그냥 맛있게만 먹지 않기로 했어요. 실중량 하나하나 꼼꼼히 따져보고, 가능하면 맛과 품질이 좋은 자포니카산 장어를 선택하려고요.
오늘 소개해드린 정보가 여러분이 장어구이를 즐길 때 더 똑똑한 선택을 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해요. 다음에도 알찬 정보로 찾아올게요! 모두 건강하게, 안녕~
댓글0